마음편한 투자 - 자산 컬렉터

초보 부린이들을 위한 부동산 용어 이해하기.


오늘은 아파트의 면적 기준과 각 면적의 이해부터 해보도록 하죠.




저도 아직 부린이지만, 저보다 더 부린이들을 위해서 부동산에 대해서 약간의 지식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말씀드리기 앞서 초보들이 공부하는데 있어서 제일 중요한 부분을 먼저 알려드리죠.

경제신문이 왜 어려울까요? 대부분 숫자와 모르는 용어들의 나열때문에 그렇습니다.



어떤 분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바로 "용어"입니다.


용어와 친숙해지면 당연히 해당 분야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렇다고 해도, 너무 이론적인 설명으로만 그치면 힘드니깐 실전 사례를 들어서 설명드리는게 훨씬 빠르겠네요.

먼저 아래의 사진을 먼저 보시죠. 어떤 아파트의 네이버 부동산 자료입니다.





면적을 알려드린다고 했는데 정작, 면적에 대한 얘기는 안나오네요.

그리고, 우리가 잘쓰는 평수는 안보이네요.


 

평,  M2 어떤게 맞아요?

아파트 면적을 볼때 대부분 '평'으로 얘기하죠?

아직 투자하시는 분들이 연세가 있으셔서 32평, 24평 이런 얘기를 많이 합니다.

07년 법정계량단위 사용을 의무화하면서 '평' 을 '㎡' 로바꿨지만 아직도 '평'을 많이 사용합니다

실제로 '평' 을 넓이로 환산하면 1평=3.3058㎡ 입니다 


그래서 33평이라고 하면 대략 109M2 정도가 되는 것이지요.

이해가 되시죠?


그런데 여기서 유의할 것이 하나 있습니다.


예전부터 사용하던 '평수'는 '전용면적'이 아닌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사용했기 때문이죠.

어? 공급 면적? 전용면적?


자, 그럼 이 기준을 설명해드리죠.


전용면적, 공급면적 

앞의 사진을 다시 가져와봤습니다.




[공급/전용] 이라고 나와 있죠?


이 차이를 보면 


출처: 국토교통부



전용면적 = 방, 거실, 화장실, 주방 등 집 내부의 면적.
② 공급면적 = 전용면적 + 주거 공용면적(계단,복도,엘리베이터) 
③ 서비스면적 = 발코니 면적 (공짜니까. 많을수록 좋겠죠?)


■ 실제 주거하는 공간은 주거면적(공급면적) + 서비스면적이 됩니다.


아파트마다 서비스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서비스면적에 따라 실제 사용 평수는 차이가 있겠죠?


④ 기타공용면적 = 관리사무소, 커뮤니티시설, 놀이터 등 입니다.


잠시 그림하나로 요약해 볼까요?





자, 이제 아까의 질문이 이해가 되시죠?


우리가 여태껏 사용하던 '평수'는 '전용면적'이 아닌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사용했다고 했습니다.



그럼 이제 사진에서 우리는 전용면적 49타입이 67M2의 공급면적, 즉 20평 (67x3.3)이라는 것을 이해할수 있습니다.


잠깐 팁으로 알려드리자면, 공급면적 그러니까 67m2의 3.3을 곱하면 20평이죠. 즉, 제곱미터(m2)를 평으로 환산하려면 3.3을 곱하면 거의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려울수 있으니 차근차근히 공부해보시는게 도움이 될 겁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